 |
옛날에는 장가를 간 신랑이 신부와 함께 배를 타고 댓골
부리로 들어오는 풍습이 있던곳이다. |
 |
마치 연인이 어린 아기를 등에 없고 서 있는 모양과 흡사
하다고 해서 ‘부아령산’,또는 ‘부아산’이라불린다.
그래서 부드러운 여자산이라고 한다. |
 |
부아산 정상에 오르기 전에 만나는 빨간색 구름다리로
이작도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이다. |
 |
|
 |
죽은 사람과 이 세상이 헤어지는 길목이라 불리는 이별모
퉁이. 초상을 치를 때 이곳에 상여를 세우고 망자와 마지
막 인사를 했다고 한다. 6.25때에도 남자들이 전쟁터에
나갈적에 이곳에서이별을 했다고 한다. |
 |
부아산 정상에 오르면 대이작도와 소이작도가 둘러싼
하트모양의 항구가 펼쳐진다. 중국과 교역하던 배들이
피항지로 이용했을 정도로 천혜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. |
 |
 |
고려때 병을 치유하는 약수로 정한수로 사용하면 소원이
이루어지고, 아들을 못 본 부부는 이 약수를 마시고 소원
하면 삼신 할매가 아들을 점지해 준다는 전설이 전해
오는 약수터이다. |
|